카카오톡 앱 설치자세히 보기

태권도 단증 조회(국기원)

국기원 태권도 단증 조회 및 재발급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권도는 어릴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시작을 하는데 이런 태권도 단증은 경찰 공무원, 소방공무원 등 취업자격증으로 활용하거나, 군대에서 태권도 단증을 유용하게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태권도 단증 자격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격증 사본 또는 자격증 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데 평소에는 태권도 단증 자격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단증을 잃어버리거나 새로 받고 싶은 분들은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국기원 태권도 단증 조회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목차

국기원 태권도 단증

태권도는 한국을 대표하는 고유 무술로 어릴때 쉽게 배울 수 있는 스포츠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이 되어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수련생이 많다고 합니다.

태권도는 국기원에서는 관리하고, 태권도 단증 조회가 가능합니다. 태권도 단증은 만15세 전에는 ‘품’이라고 하고 그 이후에는 ‘단’으로 전환 됩니다. 품단전환 신청은 국기원 홈페이지에서 품단전환 발급신청을 진행합니다. 

국기원 홈페이지에서 발급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국기원 티콘 페이지로 이동 되어 태권도 단증 조회를 진행합니다. 

※ 국기원 티콘(TCON)

국기원 티콘에서는 태권도 승품 · 단 심사 신청 등과 관련한 개인정보 관리체계를 개선,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태권도 온라인 플랫폼 입니다. 

  • 국기원 온라인 심사업무 및 발급 업무
  • 태권도 관련 업무
  • 태권도 승품단 심사 신청
  • 품 · 단, 무력, 자격 실시간 발급
  • 태권도 사범 구인구직
  • 태권도 동영상, 사진

태권도 단증 조회

국기원 태권도 단증 조회는 국기원 홈페이지에서 ‘발급서비스’를 선택하신 후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를 확인하시면 등록되어 있는 단증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국기원 홈페이지

태권도 단증 조회

  1. 국기원 홈페이지에 접속 합니다.  
  2. 발급서비스 메뉴를 선택 합니다.
  3. 로그인을 합니다. 처음 이용하는 경우 회원가입을 합니다.
  4. 마이페이지에서 단증 확인을 합니다. 

태권도 단증 조회는 국기원 홈페이지에서 발급서비스를 찾은 뒤 유품단 조회 메뉴를 클릭해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안내되는 설명에 따라 단증을 조회 할수 있습니다. 단, 1996년 이전에 품단을 취득한 경우 홈페이지에서 주민번호 입력이 되지 않아 조회가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국기원 고객센터 또는 Q&A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제출하고 등록을 합니다.

국기원 태권도 단증 조회

발급서비스 종류

태권도 단증 조회

  1. 품 → 단 전환 발급 신청
  2. 실물 발급 신청
  3. 실시간 발급 신청

발급을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신청서를 작성해 발급 신청을 진행합니다. 

발급서비스 신청

태권도 띠 순서

태권도 띠 순서는 원래 흰띠, 노란띠, 파랑띠, 빨강띠,검정띠 이렇게 5개가 정석입니다. 그런데 보라띠, 주황띠 등 다양한 색들의 띠를 보신적 있다면 이것은 도장에 따라 아이들의 승급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권도의 띠는 흰띠 부터 빨깐 띠까지 유급자라고 부르고 검은띠가 되면 나이나 수주에 따라서 유품자 또는 유단자가 될 수 있습니다. 태권도 승급 심사는 수련하고 있는 도장에서 자체적으로 이뤄지지만, 승단 심사는 국기원에서 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유도 단증 조회 및 재발급 신청 방법

태권도 심사일정 조회

태권도 단증 조회

국기원 티콘 홈페이지에서는 전국 태권도 심사일정 및 태권도 도장 조회가 가능합니다. 심사일자, 심사장소를 확인하시고 접수일시에 맞춰서 진행하시면 되고, 태권도도장 조회가 궁금한 경우에는 태권도도장조회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태권도 심사일정

국기원 태권도 단증 조회 및 국기원 티콘 홈페이지 서비스에 대해서 정리를 했습니다. 단증 조회는 국기원 발급서비스 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시면 간편하게 조회가 가능 합니다.


🔽 더 알아보기

템플스테이 예약 및 가격 비용 신청 방법

공무원 정근수당 계산 방법 및 지급 기준(가산금 총정리)